hidden.png 파일을 열어보았다.
문제에서 사진 속 빨간색이 이상해 보이냐고 물어서 괜히 꽃들을 유심히 보았다.
포토샵으로 이리저리 조정해서 육안으로 플래그를 발견할 수 있을지를 먼저 확인해보았지만
헛수고였다.
그래도 주어진 힌트는 사진뿐이고, png 파일 이름도 hidden이라 사진에 뭔가가 숨겨져있을 것만 같아서
머리속엔 계속 스테가노그래피밖에 떠오르지 않았다..
스테가노그래피에 대해 구글링을 하던중 LSB 스테가노그래피라는 것에 대해 알게되었다.
*LSB 스테가노그래피란 ?
파일의 LSB나 이미지 파일의 픽셀 RGB정보에서 각 픽셀의 LSB를 변화시켜 메시지를 숨기는 방식이다.
*상위 비트가 바뀔수록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는 색상의 변화가 크고 하위비트로 내려갈수록 변화가 작아지는 것에 대한 예시
Ex) LSB-4비트를 조작하는 경우 - 이미지의 전체적 외형은 크게 변경되지 않으나 색감과 윤곽선의 현저한 왜곡 발생
LSB-2비트를 조작하는 경우 - 언뜻 보기에 이미지의 외형, 색감, 윤곽선이 동일한 것처럼 보이지만 이미지를 확대해서 보면 변경된 부분을 육안으로 구분 가능
LSB-1비트를 조작하는 경우 - 육안으로 보았을 때는 이미지의 외형 뿐만 아니라 색감, 윤곽선 모두 동일한 것으로 보임
다시 문제풀이로 돌아와보면, 문제에서도 사진 속 빨간색이 이상해보인다는 힌트를 주었고,
RGB 정보로 픽셀의 LSB를 변화시켜서 플래그를 숨겨놓았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숨겨진 플래그를 육안으로 볼 수 있게 파일을 디코딩해 줄 사이트를 찾아보았다.
https://incoherency.co.uk/image-steganography/#unhide
위의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아래의 화면이 나온다.
Unhide image를 누르고 문제에서 주어진 hidden.png 파일을 넣어보았다.
파일을 넣자마자 자동으로 숨겨진 플래그를 나타내준다.
디코딩 된 파일을 확대해서 보면
플래그를 찾을 수 있었다 !
'FORENSIC STUDY > Writes-u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gitalForensic with CTF #8 (0) | 2020.08.10 |
---|---|
DigitalForensic with CTF #7 (0) | 2020.08.06 |
DigitalForensic with CTF #4 (0) | 2020.08.01 |
DigitalForensic with CTF #2 (0) | 2020.07.16 |
DigitalForensic with CTF #1 (0) | 2020.07.16 |